아시아 현대미술의 새로운 축… 칠곡문화예술위원회–몽골 블루선 현대미술센터 국제 협력 활발
지역을 넘어 세계로… 예술이 잇는 새로운 아시아의 흐름
본문
칠곡문화예술위원회와 몽골 블루선 현대미술센터가 아시아 현대미술의 글로벌 지평을 넓히며 세계 미술계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서세승 칠곡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과 솔롱고 바트사이한 몽골 블루선 현대미술센터 대표는 단순한 지역 간 교류를 넘어, 아시아 고유의 예술성과 정체성을 세계 시장에 확고히 알리는 전략적 연대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두 기관의 협력은 최근 아시아 미술 시장에서 나타나는 역동성과 변화의 흐름을 주도하며, 예술적·문화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국제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글로벌 아트 인 상하이’ VIP 초청 관람을 계기로 상하이 국제 예술품 무역 주간에서 아시아 현대미술의 위상을 한층 높였고, 2023년 몽골 울란바토르 자나바자르불교 미술박물관에서 열린 ‘이중적 연결(Hybrid Connections)’ 전시는 아시아 현대미술의 심층적 예술성을 세계에 알리는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쿠바 아바나 비엔날레 관계자, 중국의 저명 평론가 구전칭, 세계적 컬렉터 울리 시그, 몽골 대표 미술가 바타르조리그 등과 폭넓은 교류가 이어지며 국제적 입지를 더욱 단단히 다졌다.
또한 베이징 798 예술지구와의 협력은 동아시아 미술 생태계 확장에도 중요한 진전을 보였다. 몽골 작가 시지르바타르의 개인전은 몽골 현대미술이 동아시아 미술계에서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할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한국·몽골·중국 작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예술지구 탐사를 통해 창작의 영감과 교류가 더욱 촉진되었다. 이 같은 연계 활동은 세 나라 예술가들의 상호 이해와 협력의 폭을 넓히며 동아시아 현대미술의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국제적 협력의 정점으로, 서세승 위원장이 총괄 기획한 특별 전시가 2025년 11월 17일 내몽골 후허하오터시 ‘푸른 도시 - 87 아트 갤러리’에서 성황리에 막을 올렸다. 오는 12월 1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전시는 아시아 예술가들의 강한 연대 의식과 지역을 넘어선 예술적 공감대를 상징하며, 특히 몽골 현대미술의 독창성과 폭넓은 사유를 담은 작품 세계를 조명하는 자리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전시에는 몽골 현대미술의 흐름을 대표하는 세 명의 주요 작가가 참여해 깊이를 더한다. 혼합 매체와 뉴미디어를 통해 삶의 동력과 새로운 시작을 탐색하는 나르바야스갈은 블루선 현대미술센터의 미술감독으로서 동시대 예술의 경계를 확장하고 있으며, 몽골 화가협회 및 ‘블루 선’ 센터 회원인 히식수렌은 전통 몽골의 시각 언어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으로 주목받는다. 그의 대표작 ‘모든 경계를 넘어선(ХЯЗГААРГҮЙ)’은 말의 심리적 상태와 시간의 흐름을 몽골의 색채와 오행 사상을 접목해 시각화한 작품이다. 시지르바타르는 유목민의 삶과 도시화된 사회 속 인간 내면을 탐구하며, 오래된 사진을 판화·콜라주 기법으로 재구성해 강인함과 보편적 인간 가치를 상징하는 독창적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다.
칠곡문화예술위원회와 몽골 블루선 현대미술센터의 폭넓은 활동은 한국, 몽골, 중국, 일본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아시아 현대미술 패러다임을 정립하는 데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두 기관의 리더십은 단순한 전시 기획을 넘어 문화적 연결망을 형성하고, K-아트를 비롯한 아시아 현대미술이 세계 미술사의 중요한 지점을 향해 나아갈 비전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한편, 2025년 11월 17일부터 21일까지 일본 도쿄 하라주쿠 디자인페스타 갤러리에서 개최된 할리운·초그빌리그 작가의 Z세대 특별전 ‘붉음에서 붉음으로’ 역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전시는 아시아 현대미술이 미래 세대의 감각과 만나 어떻게 진화할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무대로 평가되며, 젊은 작가들이 주도하는 새로운 미학적 흐름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아시아 현대미술을 향한 이들의 신념과 공동 프로젝트는 앞으로도 국제 무대에서 더욱 다양한 성과로 이어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두 기관의 협력이 아시아 미술의 글로벌 위상을 높이고, 세계 미술 시장에서 새로운 균형점을 제시할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