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한 작가 개인전 '화이트스톤 갤러리 서울'에서 개최

본문 바로가기

미술전시

김덕한 작가 개인전 '화이트스톤 갤러리 서울'에서 개최

‘OVERLAID : 겹쳐진 시간, 기억의 형상’

본문

김덕한 작가 개인전 ‘OVERLAID : 겹쳐진 시간, 기억의 형상’

화이트스톤 갤러리 서울, 10월 25일부터 12월 7일까지 개최

“시간을 벗겨내는 행위, 존재의 기억을 압축하다”


[문화예술신문 아트인뱅크 = 아뱅뉴스]
화이트스톤 갤러리 서울은 10월 25일부터 12월 7일까지 김덕한 작가의 개인전 **‘OVERLAID : 겹쳐진 시간, 기억의 형상’**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5년 만에 선보이는 개인전으로, 베이징과 타이페이 등 해외 전시를 통해 동양의 전통 재료와 현대적 미감을 교차시켜온 김덕한이 서울에서 다시 관객과 만나는 자리다.

김덕한은 '옻칠(漆)'이라는 전통 재료를 바탕으로 물질과 정신, 시간과 기억의 층위를 탐구해왔다. 옻을 덧입히고 갈아내는 반복적 행위를 통해 그는 단순한 물리적 흔적이 아니라, 기억이 퇴적되고 시간의 심연이 드러나는 실존적 수행의 언어를 구축한다. 그의 화면은 단색의 평면을 넘어, 보이지 않는 시간의 흔적이 응축된 ‘형상(形象)’으로 존재의 본질을 드러내는 정신적 이미지로 읽힌다.

특히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인 'DIVISION Series'는 길이 12m, 높이 6m에 달하는 대형 설치작품으로, 공간을 가르는 분할의 개념을 통해 존재와 기억의 분절된 층위를 사유하게 만든다. 이 외에도 물질의 압축을 통해 입체로 확장된 'COMPRESSED Series', 평면과 오브제를 넘나드는 신작 'OVERLAID Series'가 함께 선보인다.

김덕한의 옻칠 회화는 단순히 재료 실험에 그치지 않는다. 전통 기법이 동시대 미술의 맥락 속에서 새롭게 호흡할 수 있는지를 묻는 '미학적 실험장'으로 기능한다. 사포질의 반복 속에 드러나는 우연적 흔적과 노동의 층위는 물질의 표면을 넘어 기억과 존재의 근원을 탐색하는 비평적 언어로 작동한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오랜 시간 탐구해온 ‘겹쳐진 형상’의 철학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관객은 화면 위에 새겨진 시간의 흔적을 마주하며, 존재와 기억, 전통과 현대가 교차하는 사유적 풍경 속으로 초대된다.


11775813f7bf6dc77b4e65582e522291_1761234782_9396.jpg
[출처 - 아트인뱅크 >=전시장 1층]


김덕한 작가는  

“반복되어 덧씌워진 이미지는 시간과 공간의 기록을 의미한다. 

층층이 쌓이고 갈려나가는 과정 속에서 나는 과거의 감정과 기억을 되짚어 본다.

환희에서 슬픔으로, 아쉬움에서 기쁨으로 변하는 감정의 색(色).

그날의 기억을 다시 쌓아 올리며 현재의 나를 비춘다.

내 작업은 그림을 그리는 행위가 아니라, 시간을 벗겨내는 행위이다.”라고 말한다.


11775813f7bf6dc77b4e65582e522291_1761234801_9384.jpg
[출처 - 아트인뱅크 >=전시장 1층]

평론가 토마스 엘러(Thomas Eller)는 “김덕한의 작품은 손끝으로 만지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는 순수한 우아함을 지닌다”며 “그의 작업 앞에 서면 공기의 온도마저 달라진 듯한 감각적 긴장이 생긴다”고 평했다.

그는 이어 “김덕한은 ‘표면(surface)’을 통해 감각의 분리를 제거하고, 단절된 과거를 현재 속으로 수렴시킨다”며 “이것은 서구적 서사와 다른 동양적 사유의 본질”이라고 덧붙였다.

옻칠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귀한 재료 중 하나로, 한 그루의 나무에서 소량만 얻을 수 있다. 김덕한은 이 귀한 재료에 알료를 섞고 은박을 넣어 광택과 깊이를 더하며, 수개월에서 1년 이상에 걸쳐 한 작품을 완성한다. 그는 “각 층이 따로 느껴져서는 안 된다. 모든 층이 하나의 표면으로 이어질 때 비로소 시간의 흔적이 한 겹으로 압축된다”고 말한다.


11775813f7bf6dc77b4e65582e522291_1761234845_6846.jpg

[출처 -아트인뱅크 >=전시장 1층 ] 토마스 엘러(왼쪽), 김덕한(오른쪽)


김덕한(1981년생)은 칠예와 문화재 보존과학을 전공하고, 오랜 시간 옻칠을 체계적으로 연구해온 작가다. 전통 도료인 옻칠을 여러 겹 쌓아 올린 뒤 사포로 갈아내어 층을 드러내는 그의 작업은 수행적 인내와 반복의 미학을 보여준다.

그는 이응노미술관, 화이트스톤 베이징·타이페이 등 국내외에서 다수의 개인전을 열었으며, 2023년에는 박서보 재단 아트베이스 그룹전에 참여했다. 또한 위스키 브랜드 ‘발베니(The Balvenie)’와의 협업 전시를 통해 옻칠의 현대적 확장 가능성을 선보였다.


11775813f7bf6dc77b4e65582e522291_1761234900_355.jpg
[출처 -아트인뱅크 >=전시장 2층 ] 김덕한(왼쪽), 토마스 엘러(오른쪽)



전시기간 : 2025년 10월 25일 ~ 12월 7일

장소 : 화이트스톤 갤러리 서울 (서울 용산구 소월로 70), 02-318-1012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적용하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